중시조와파시조시향일
세대 |
성 명 |
관 직 |
파 별 |
묘 소 |
시사일 |
4 |
민령모(閔令謨) |
문하시랑평장사 (門下侍郞平章事) |
◎문경공(文景公) |
충북음성군금왕사창 |
음9월15일 |
8 |
민 지(閔 漬) |
도첨의정승 (都僉議政丞) |
◎문인공(文仁公) |
장단군진서면선적 |
음9월20일 |
13 |
민 환(閔 渙) |
전의감사(典醫監事) |
전의감사공파 (全醫監事公派) |
영동군황간면구미 |
음10월3일 |
13 |
민 담(閔 憺) |
감찰(監察) |
감찰공파(監察公派) |
|
|
14 |
민효창(閔孝昌) |
사용(司勇) |
사용공파(司勇公派) |
|
|
14 |
민효순(閔孝舜) |
고산현감(高山縣監) |
현감공파(縣監公派) |
청원군현도면중척 |
음10월3일 |
14 |
민효증(閔孝曾) |
좌찬성(左贊成) |
공목공파(恭穆公派) |
천안시직산면군서 |
음10월3일 |
17 |
민형남(閔馨男) |
우찬성(右贊成) |
지애공파(芝崖公派) |
천안시입장면양대 |
음10월2일 |
14 |
민사건(閔師騫) |
충청감사(忠淸監司) |
감사공파(監司公派) |
고양시일산구성석 |
음10월15일 |
16 |
민기문(閔起文) |
황해감사(黃海監司) |
역암공파(櫟菴公派) |
고양시일산구성석 |
음10월15일 |
13 |
민 석(閔 釋) |
직장(直長) |
직장공파(直長公派) |
천안시직산면 |
|
11 |
민공생(閔公生) |
사농소경(司農少卿) |
소경공파(少卿公派) |
평산군수월봉두성 |
|
10 |
민 서(閔 瑞) |
평의사(評議事) |
평의사공파 |
|
|
13 |
민안손(閔安孫) |
교위(校尉) |
교위공파(校尉公派) |
안성시보거기좌 |
양10월3일 |
13 |
민순손(閔順孫) |
이조판서(吏曹判書) |
이판공파(吏判公派) |
춘천시신북용산 |
양10월첫日 |
13 |
민효환(閔孝懽) |
장령(掌令) |
장령공파(掌令公派) |
용인시원삼가좌 (龍仁市遠三加佐) |
음10월7일 |
13 |
민효흔(閔孝忻) |
첨지(僉知) |
첨지공파(僉知公派) |
괴산군사이사담 (槐山郡沙梨沙潭) |
음10월첫日 |
13 |
민효열(閔孝悅) |
돈령(敦寧) |
돈녕공파(敦寧公派) |
안산시상록팔곡 (安山市常綠八谷) |
음10월1일 |
14 |
민회삼(閔懷參) |
대정현감(大靜縣監) |
의암공파(義庵公派) |
화순군춘양면대신 (和順郡春陽面大薪) |
음10월15일 |
10 |
민안부(閔安富) |
전리판서(典理判書) |
농은공파(農隱公派) |
산청군오부면내곡 (山淸郡梧釜面內谷) |
음10월10일 |
13 |
민 선(閔 璿) |
우후(虞侯) |
우후공파(虞侯公派) |
산청군오부면면우 (山淸郡梧釜面眠牛) |
음10월12일 |
15 |
민희안(閔希顔) |
참봉(參奉) |
참봉공파(參奉公派) |
산청군오부면생림 (山淸郡梧釜面生林) |
음10월15일 |
15 |
민희건(閔希騫) |
|
졸수공파(拙叟公派) |
산청군생초대포 (山淸郡生草大浦) |
음10월10일 |
15 |
민희상(閔希商) |
|
창주공파(滄州公派) |
산청군오부면창주 (山淸郡梧釜面滄州) |
음10월15일 |
15 |
민희로(閔希路) |
|
야와공파(野窩公派) |
산청군오부면구선 (山淸郡梧釜面求仙) |
음10월15일 |
15 |
민유의(閔惟義) |
|
갈전공파(葛田公派) |
산청군오부면안산 (山淸郡梧釜面案山) |
음10월12일 |
13 |
민 발(閔 發) |
판중추부사 (判中樞府事) |
위양공파(威襄公)派 |
음성군금왕읍류촌 (陰城郡今旺邑柳村) |
음10월15일 |
12 |
민보광(閔普光) |
교서별제(校書別提) |
이정공파(梨亭公派) |
영동군심천면금정 (永同郡深川面錦汀) |
음10월10일 |
12 |
민보문(閔普文) |
소윤(少尹) |
소윤공파(少尹公派) |
연천군백학변백령 (連川郡百鶴面百嶺) |
음10월10일 |
12 |
민세영(閔世榮) |
공조전서(工曹典書) |
전서공파(典書公派) |
|
음10월첫日 |
13 |
민희건(閔希騫) |
참봉(參奉) |
참봉공파(參奉公派) |
평원군숙천치남 (平原郡肅川治南) |
|
9 |
민 혁(閔 奕) |
해관지후(解官祗侯) |
해관지후공파 (解官祗侯公派) |
영주시문수만방 (榮州市文殊萬芳) |
|
11 |
민덕생(閔德生) |
검한성(檢漢城) |
한성공파(漢城公派) |
|
|
13 |
민 근(閔 謹) |
이조참의(吏曹參議) |
이참공파(吏參公派) |
화성시매송면야목 (華城市梅松面野牧) |
음10월 첫째일요일 |
13 |
민효남(閔孝男) |
상의정(尙衣正) |
상의정공파 (尙衣正公派) |
여주군개군면향리 (驪州郡介軍面香里) |
음10월 첫째일요일 |
11 |
민경생(閔慶生) |
공안부윤(恭安府尹) |
공안부윤공파 (恭安府尹公派) |
|
|
12 |
민심언(閔審言) |
개성유수(開城留守) |
유수공파(留守公派) |
김포시월곶개곡 (金浦市月串開谷) |
음3월15일 |
13 |
민징원(閔澄源) |
호조참의(戶曹參議) |
호참공파(戶參公派) |
화성시동탄면목리 (華城市東灘面睦里) |
음10월5일 |
21 |
민시중(閔蓍重) |
대사헌(大司憲) |
삼방파(三房派) |
여주군능서오계 (驪州郡陵西梧溪) |
음10월9일 |
21 |
민정중(閔鼎重) |
좌의정(左議政) |
삼방파(三房派) |
여주군여주상거 (驪州郡驪州上巨) |
음10월9일 |
21 |
민유중(閔維重) |
영돈녕부사 (嶺敦寧府事) |
삼방파(三房派) |
여주군여주능현 (驪州郡驪州陵峴) |
음10월10일 |
16 |
민제인(閔齊仁) |
좌찬성(左贊成) |
입암공파(立岩公派) |
남양주미금면일패 (南楊州渼金面一牌) |
음10월3일 |
16 |
민제영(閔齊英) |
현감(縣監) |
감찰공파(監察公派) |
대전시대덕삼정 (大田市大德三政) |
음10월2일 |
13 |
민충원(閔冲源) |
사헌부집의 |
석봉공파(石峰公派) |
대전시유성도룡 |
음10월1일 |
13 |
민준원(閔浚源) |
단양군수(丹陽郡守) |
단양공파(丹陽公派) |
김포시월곶면개곡 (金浦市月串面開谷) |
음3월15일 |
13 |
민담원(閔澹源) |
사과(司果) |
사과공파(司果公派) |
고양시덕양현천 (高陽市德陽玄川) |
음10월 첫째월요일 |
11 |
민 제(閔 霽) |
좌의정(左議政) |
문도공파(文度公派) |
개풍군임한옥금산 (開豊郡臨漢玉金山) |
음10월 첫째일요일 |
11 |
민 양(閔 亮) |
부윤(府尹) |
부윤공파(府尹公派) |
|
|
13 |
민 신(閔 伸) |
이조판서(吏曹判書) |
충정공파(忠貞公派) |
해남군해남읍해리 (海南郡海南面海里) |
음10월10일 |
12 |
민불탑(閔不貪) |
이조참판(吏曹參判) |
청백리공파 (淸白吏公派) |
여주군북내면벽사 (驪州郡北內面甓寺) |
음10월 첫째일요일 |
11 |
민 식(閔 軾) |
지돈녕(知敦寧) |
지돈녕공파 (知敦寧公派) |
|
음10월1일 |
7 |
민 비(閔 備) |
합문지후(閤門祗侯) |
합문지후공파 |
연백군송봉운계 (延白郡松逢雲溪) |
|